-
- 내 집 마련 어려운 홍콩 청년, 대만구 지역으로 눈길 돌려
- 홍콩에서 내 집 마련이 어려워지면서 보다 더 가격이 저렴한 대만구 지역(GBA)으로 눈길을 돌리는 홍콩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 홍콩은 전 세계에서 집값이 ...
- 2022-07-01
-
- 홍콩 반환 기념 맞아 시 주석의 홍콩 방문에 경비 강화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구체적인 홍콩 방문 일정이 공개되지 않은 가운데 인접한 중국 선전에서 숙박하며 이틀간 홍콩을 찾을 가능성에 홍콩 정부 및 인근 ...
- 2022-06-29
-
- 2025년부터 홍콩 대입에 한국어 추가
- 2025년부터 홍콩 대학 입학시험(DSE)에 한국어 과목이 추가될 예정이다. 22일(수), 주홍콩대한민국총영사관은 홍콩시험평가국과 한국 국립국제교육관이 홍콩 대...
- 2022-06-24
-
- 존 리, 차기 행정부 내각 명단 공개해
- 존 리(John Lee) 차기 홍콩 행정장관이 내달 1일 출범하는 홍콩 차기 내각을 공개했다. 지난 19일(일) 존 리 차기 행정장관은 먼저 내각의 사장(司長·장관격) ...
- 2022-06-24
-
- 홍콩 빈부격차 40배로 확대
- 홍콩 상위 10% 부유층과 하위 10% 빈곤층의 소득 격차가 무려 40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7년 당시 소득 격차가 17배였지만, 홍콩 반환 이후 빈부격차 현상...
- 2022-06-24
-
- 금리 인상∙공급 증가에 신축 분양가 줄줄이 인하
- 금리 인상과 주택 공급 증가에 홍콩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신축 아파트 분양 가격을 낮추고 있다. 선헝카이(Sun Hung Kai Properties)는 지난 19일 실리콘 힐(Silicon Hill...
- 2022-06-24
-
- 자기 정체성 ‘중국인’으로 인식하는 홍콩인 증가
- 최근 한 정체성 설문조사에서 자기 정체성을 중국인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8세~29세 연령대의 응답자 중 자신을 중국인...
- 2022-06-24
-
- 홍콩 반환 후 25년, 홍콩은 얼마나 좋아졌나
- 올해는 홍콩이 중국으로 반환된 지 25년이 된 해다. 25년 동안 홍콩은 750만 명이 거주하는 대도시로 발전했고, 세계적 금융 허브로 자리 잡았다. 7월 1일 홍콩 반...
- 2022-06-24
-
- 8월 7일부터 전자 소비 바우처 2차분 지급
- 13일(월), 폴 찬 재무장관이 다가오는 8월 초에 전자 소비 바우처 2차분인 5,000 홍콩달러를 지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대중들의 의견을 수용하여 지급대상...
- 2022-06-17
-
- 홍콩 반환 25주년 맞아 다양한 행사 선보여
- 다가오는 7월 1일, 홍콩 반환 25주년을 맞아 홍콩 정부가 대대적인 홍보와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지난 5월 31일, 정부는 25주년 반환기념일을 맞이해 홍보 영상 2...
- 2022-06-17
-
- 1997년의 재현, 이민 떠나는 홍콩인들의 부동산 투자 고민
- 홍콩이 중국으로 반환된 지 올해로 25년이 지난 현재, 홍콩 국가보안법 도입 및 강도 높은 코비드19 방역 정책으로 과거 1997년의 이민 물결이 또 다시 재현되고 ...
- 2022-06-17
-
- 캐리 람 ‘남은 임기 동안 코로나19 정책 완화 안 해’
- 국제 비즈니스 허브로서의 지위 손상을 경고하며 코비드19 방역 정책 완화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캐리 람 행정장관은 남은 임기 기간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조...
- 2022-06-17
-
- 빅4 회계법인 PwC, 홍콩 IPO 시장 전망 하향 조정
- 코비드19 재확산, 지정학적 긴장, 글로벌 인플레이션 상승 억제를 위한 금리 인상 등과 같은 외부 요인으로 빅4 글로벌 회계법인 중 PwC가 처음으로 올해 홍콩 IP...
- 2022-06-17
-
- MPF 퇴직금 상쇄 매커니즘, 2025년부터 폐지 확정
- 그동안 근로자에게 부당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던 MPF 퇴직금 상쇄 매커니즘이 지난 2월 제 1 독회를 한 이후 지난 8일과 9일 제2차와 3차 독회를 거친 후 마침내 ...
- 2022-06-10
-
- 홍콩 ‘달러 페그제’ 검토 필요성 논란
- 홍콩 경제가 1분기에 침체했음에도 불구하고 달러 페그제 때문에 미국의 금리 인상 움직임을 따라야 한다는 점이 지적되면서, 페그제에 대한 검토 필요성이 ...
- 2022-06-10
-
- 아시아태평양 주택 시장에 대한 엇갈린 전망
- 코비드19 팬데믹, 지정학적 긴장 고조, 금리 인상 등 여러 불확실성 속에서 천정부지로 오르던 아시아태평양 주요 시장의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주춤하고 있다...
- 2022-06-10
-
- 현금 없는 매장, 소비자의 결제 수단 선택권 박탈 지적
- 코비드19 팬데믹 이후 홍콩의 현금 없는 사회가 가속화된 가운데 스타벅스가 올해부터 시작한 현금 없는 매장 시범 제도가 소비자의 지불 선택권에 대한 논란...
- 2022-06-10
-
- 긴 업무시간, 적은 연차…4명 중 3명, 직장 불만족
- 홍콩 직장인 4명 중 3명 이상이 직장에 대해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구직자들이 직장을 선택할 때 워라벨을 더 중시하게 되면서 근로자들의 워라벨 ...
- 2022-06-10
-
- 백신 패스 3단계 시행에 요식업 최대 25% 매출 하락 전망
- 주민 2명 중 1명이 아직 3차 접종하지 않은 가운데 백신 패스 3단계가 5월 31일부터 시행됐다. 요식 업계는 단기적으로 매출이 하락하고 내수 경제 또한 타격받...
- 2022-06-03
-
- 최저임금 심의 앞두고, 각계각층 의견 대립
-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6주간의 공공 협의가 종료된 가운데, 최저임금 인상 여부에 대한 각계의 다양한 의견들이 대립하고 있다. 지난 31일(화), 최저임금위원...
- 2022-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