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홍콩 지하철, 지역과 상이한 홍콩지하철역 이름
  • 위클리홍콩 기자
  • 등록 2015-07-30 17:46:56
  • 수정 2015-07-30 17:48:27
기사수정
  • 많은 사람들은 통로완(銅鑼灣) 지하철역 입구를 나오면 통로완마켓(街市)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예상외로 통로완마켓은 틴하우(天后) 지하철과 더 가깝다..
많은 사람들은 통로완(銅鑼灣) 지하철역 입구를 나오면 통로완마켓(街市)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예상외로 통로완마켓은 틴하우(天后) 지하철과 더 가깝다.

청샤완(長沙灣) 지하철역도 마찬가지다. 청샤완 광장과 청샤완 버스터미널은 다름 아닌 라이치꼭(荔枝角) 지하철에 위치하고 있다. 왜 이런 일이 생긴 걸까? 홍콩지도 어디에도 Prince Edward(太子), Austin(柯士甸)이라는 지역명은 없다. 그런데 왜 이들 이름으로 된 지하철역이 있는 걸까? 왜 지표면의 건축물과 지도는 차이가 나는 걸까?

이는 홍콩시민들이 홍콩지하철역 이름을 결정하는데 참여할 수 없고, 철도회사가 임의로 결정해 왔기 때문이다.

최근 몇 년 들어 지하철역 이름 명칭을 두고 여러 논란이 있어왔었다. 예를 들어 홍콩대학역 이름을 두고 Whitty Street(屈地)/Shek Tong Tsui(石塘咀)로 하자는 제안이 있었지만, 최종적으로 홍콩대학역으로 결정되었다.

1978년 홍콩지도를 살펴보면, 홍콩지도상의 지하철역 이름은 당시 개통된 역이 별로 없었다.

아래지도가 가장 최초 지하철노선도였고, 이 노선표를 보면 쿤통(觀塘)에서 센트럴(中環)까지만 표시되어 있다.
 
지도상의 Chater(遮打)역이 현재의 센트럴역이다. 해군사령부(Admiralty)가 현재 깜종(金鐘)역이다. Waterloo(窩打老)역은 현재 야마테이, Argyle(亞皆老)역은 현재 몽콕(旺角)이다.

이후에 지하철이 완전 개통되면서 중국이름이 현재 센트럴(中環), 깜종(金鐘), 야마테이(油麻地), 몽콕(旺角)으로 바뀌었지만, 영문명은 지역명과 인접해 있는 도로명 Chater,Waterloo 등으로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1985년까지 홍콩에 거주하는 프랑스인이 Waterloo(나폴레옹 장군이 영국의 웰링턴 장군과 싸워서 패한 곳)라는 명칭을 싫어해 지하철역 이름을 완전히 Waterloo에서 야우마테이(油麻地)로 바꿨다고 한다.

이런 역사적인 사실을 살펴보더라도 초기 홍콩지하철역 이름은 지역명이 아닌 도로명을 주로 사용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세계적인 지하철역 이름을 살펴봐도 대부분 지하철역 이름은 도로명과 관련성이 큰 편이다.

홍콩 지하철역 이름인 Jordan(佐敦道),Prince Edward(太子道)는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Cheung Sha Wan(長沙灣), Lai Chi Kok(荔枝角), Mei Foo(美孚)역의 잘못된 위치 >

<Cheung Sha Wan(長沙灣), Lai Chi Kok(荔枝角), Mei Foo(美孚)역의 잘못된 위치>

 

하지만 최근 들어 홍콩인들은 지하철역이름이 도로명이 지역명으로 많이 바뀌고 있다. 그래서 지도상에서는 Jordan이나 Prince Edward라는 명칭은 찾을 수 없고, Jordan 일대는 야마테이로, Prince Edward 일대는 몽콕, 몽콕북쪽이라고 불리고 있다.

초기 지하철역 이름은 그 지역요구에 따라 만들어졌다. 만약 지하철역이 지역과 지역사이에 있다면 한 지역명만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청샤완(長沙灣), 라이치꼭(荔枝角)을 살펴보면, 청샤완(長沙灣)역은 청샤완 남쪽에 위치하고 또한 샴수이포(深水埗) 북쪽하고 연결되어 있다.

지하철역 이름을 지을 때 So Uk Estate(蘇屋邨) 마을이 있는 So Uk(蘇屋)역으로 지으려고 했지만, 이곳 마을과도 약간의 거리가 있어 최종적으로 청샤완(長沙灣)역으로 결정되었다.

라이치꼭역도 마찬가지다. 라이치꼭 역도 오늘날 메이푸에 위치하고 있으며, 라이치꼭역은 사실 청샤완쪽에 자리하고 있다. 청샤완 버스터미널과 청샤완 광장이 모두 라이치꼭역 위에 있다.

원래 라이치꼭 역은 처음 라이완(荔灣)역 이었으나 85년 메이푸로 바뀌었다. 이 지역 3개 지하철역 이름은 시민들의 생각과 다르게 배치된 것이다. 예를 들어 라이치꼭 공원은 메이푸역에 청샤완 광장은 라이치꼭 역에, 샴수이포 운동장은 청샤완역에 등등으로 말이다.

물론 지역명은 변할 수 있고, 생겼다가 사라질 수도 있다. 하지만 지하철역 이름의 영향력은 커서 지역사회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역사와 지형적 특색으로 생겼던 지역이름이 지하철역 이름으로 변해 버릴 수도 있기 때문에 지하철역 이름을 지을 때 좀 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스탬포드2
홍콩 미술 여행
홍콩영화 향유기
굽네홍콩_GoobneKK
신세계
NRG_TAEKWONDO KOREA
유니월드gif
aci월드와이드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