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외화 비상금' 확충을 위해 추진해 온 통화 스와프 협정 과정에서 중국·일본 간에 주도권 경쟁이 있었다. 한·중·일 3개국은 13일 일본 후쿠오카(福岡)에서 열린 첫 3국 정상회담의 주요 합의 사항에 한국에 대한 통화 스와프 확대 방안을 포함하려고 했다. 한국이 먼저 중·일에 규모 확대를 제안해 일본이 기존 140억 달러에서 300억 달러로 확대하고, 중국은 기존 40억 달러에서 300억 달러로 확대하는 방안이 실무 차원에서 사전 논의된 것이다.
일본 정부는 이와 관련해 11일 일본 언론을 통해 한·일 간 통화 스와프 규모를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공개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일본은 물론 한국에서도 일 정부가 앞장서 한국을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측의 통화 스와프 확대 결정은 더 기다려야 하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아사히(朝日)신문은 14일 "한국에 대한 통화 스와프 협력을 일본이 먼저 결정한 것처럼 알려졌으나 한국에 먼저 지원 의사를 전달한 것은 중국이었다"고 보도했다. 중국이 한국의 요청을 받고 한국 정부에 먼저 손을 내밀자, 일본 정부가 이를 알고는 뒤따라 참여 방침을 결정했다는 것이다.
중국은 일본이 앞장서 한국에 대한 외화 지원에 나서는 것처럼 생색을 내게 되자 당초 13일 정상회담 때 공식 발표할 예정이었던 스와프 협정 공동발표를 하루 앞당기자고 요청했다. 그래서 통화 스와프 협력 방안은 정상회담 하루 전날인 12일 공개됐다. 결과적으로 소극적이던 일본이 통화 스와프 협력에 나선 것은 아시아 주도권 경쟁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