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91호, 8월18일]
중국 문화산책...중국의 금기사항
혼인금기
혼인금기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택혼(擇婚)에 있어서 씨족외혼(氏族外..
[제91호, 8월18일]
중국 문화산책...중국의 금기사항
혼인금기
혼인금기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택혼(擇婚)에 있어서 씨족외혼(氏族外婚)습속이다. 씨족외혼의 습속은 고대로부터 있어온 정치적, 생물학적 경험의 결과이다. 즉 정치적으로는 군사적인 동맹관계나 연계를 위한 것이며, 생물학적으로는 열성(劣性)후손의 탄생을 막고자 했기 때문이다.
중국의 혼인금기 중에는 동성금혼 외에 등급혼금기(等級婚禁忌)가 있다. 이는 고대의 혼인이 혼인 남녀 당사자의 문제가 아니라 씨족간의 정치적, 경제적 결합으로서의 가치가 더 컸기 때문이다. 고대중국의 혼인특성은 연애금기의 중매가 있다. 모든 혼인은 중간의 매개자를 통해서만 진행되었는데, 이는 씨족과 씨족간에 있을 수 있는 불편한 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중매인의 존재가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는 여성의 실정(失貞)을 크게 금기시했기 때문이다.
동방(洞房)의식 때에도 몇 가지 중요한 금기가 있다. 첫째는, 이날 침대에 오를 때 신랑의 신발이 신부에게 밟히면 평생을 아내에게 머리를 들지 못한다는 속설이며, 다른 하나는 동방에 밝힌 두 개의 촛불을 지키는 것으로, 속설에 의하면 먼저 꺼지는 촛불의 대상자가 먼저 죽는다. 따라서 백년해로를 위해서는 밤새촛불을 지키는 수화촉(守火燭)의 의식을 진해하기도 하고 동시에 두 개의 촛불을 끄기도 한다.
언어금기
언어금기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주대에 시작된 호칭금기, 즉 피휘(避諱)이다. 피휘는 고대 정치인물들이 자신들의 권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수단이었으며 또한 가족 어른과 타 어른의 이름을 말할 때에도 적용되어 직접 거명할 수 없었다. 즉 "자식은 아버지의 이름을 말할 수 없고, 제자는 스승의 이름을 말할 수 없다"라는 문화를 발전시켰는데, 그렇게 하지 않으면 일찍 죽게 된다는 속설 때문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피휘는 자식의 이름을 지을 때에도 적용되었으며, 조상이나 어른의 이름과 동일한 글자는 쓰지 않았다. 특히 자식의 이름을 지을 때, 어렸을 때 소명(小名)을 지었다가 어른이 되면 이름을 바꾸었는데, 이때부터 소명은 부르지 못했다. 또 이름을 지을 때에는 오행의 극명(克名, 서로 상극이 되는 명칭)을 고려해서 이름자에 금(金)이 없는 경우는 화(火)를 넣지 못하는 등의 금기를 지켰다.
Tips) 上海에서 병문안 시 주의사항
상해에서 병문안 갈 때에는 조심해야 할 것이 있다. 즉, 사과를 가져가면 안 되는 것이다.
사과는 중국 표준어로는 '핑구어(萍果)' 인데, 상해어 발음은 '삥구어' 이다. '삥구어'는 '病故'의 상해어 발음과 동일하며, 이 '病故'는 '병든 사람은 반드시 죽는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이기 때문에 환자에게 사과를 준다는 것은 곧 '당신은 반드시 죽는다'는 말을 대신하게 되는 셈이다.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터부가 점차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나, 아직도 대다수 상해인들의 의식 중에 남아있다.
좋은 뜻으로 병문안을 갔다가 원수지는 일이 생길 수도 있으니 조심하라.
* 참고 : '故'의 여러가지 뜻 중에는 '죽다'라는 뜻이 있다. 예를 들면 '故世'는 죽다, 세상을 떠나다' 는 뜻이다.
숫자금기
숫자의 금기는 동음에 의한 것과 문화적인 특수한 배경에 의한 나이와 관계되는 것이 많다. 동음에 의한 것으로는 사(四, 중국어로 Si)로 발음이 동일한 사(死, Si)의 음을 피하기 위해 사용을 꺼려 4월에는 혼인을 꺼린다든가 혼례 등의 축의금을 보낼 때 4단위 액수를 피했다.
반면에 좋아하는 숫자로는 팔(八, 중국어로는 Ba)이며 돈을 번다는 의미의 발재(發財)중 발(發, Fa)의 음과 유사하기 때문에 즐겨 사용했다. 숫자금기 중에는 또, 홀수와 짝수 금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3, 6, 9등 3의 배수를 선호하지만, 혼례 때의 축의금의 경우는 40이나 400을 제외한 짝수의 액수를 사용하고, 상례 때는 홀수의 액수를 사용하였다.
나이와 관계되는 금기 숫자는 45, 73, 84, 100세 등이 있다. 45세란 송대의 포공(包公)의 고사와 관련, 어려움을 만나거나 죽음을 경험한 나이라 여겨 꺼린다.
73과 84세는 공자와 맹자의 나이와 관계가 깊다. 전설에 의하면 공자는 73세에 죽고, 맹자는 84세에 죽었는데, 성현들도 그 나이에는 죽음을 피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 100세를 피하는 이유는 백을 보통 숫자의 만수로 생각하기 때문에 백살이 되었어도 언제나 99세라고 말했다. 이 밖에 지역에 따른 나이금기도 있어서 산동 지역에서는 41세 때 아내에게 문제가 생긴다는 속설 때문에 남자들은 이 나이를 피해서 말한다. 남부지역에서는 9를 싫어하여 9세, 19세, 29세 등의 나이를 직접 말하지 않는다.
복식금기
중국에는 "십리에서 사람을 알아보고, 백리에서 옷을 알아본다"라는 속담이 있는데, 이는 의복과 사회적 가치판단의 밀접함을 반영한다. 또, 중국인들의 의복의 색상, 재료, 형태, 제작 등에 관한 많은 금기들이 있으며, 그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색상이다. 중국인들이 가장 금기시하는 색상은 황색, 자색, 향색 등의 이른바 귀색이다. 이들 색상은 과거 신분제와 관련 대부분 황실이나 귀족을 대표하는 색으로서 민간에서 이 색을 입으면 반역으로 오해를 받았다.
중국의 민간색상 중 녹색, 벽색(碧色), 청색은 천색(賤色)으로 원·명·청대에는 창기와 배우 등의 천한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만 입었다.
중국인들이 천색 외에 또 꺼리는 것은 흉색(凶色)이 있는데, 이것은 백색과 흑색으로 모두 상장례와 관계가 있다. 따라서 혼례 등에는 순백색과 순흑색을 절대 금기시하며 길함을 상징하는 붉은색을 주로 사용한다. 축의금 역시 붉은 봉투에 담아 홍포(紅包-홍콩에서는 홍빠오)라고 하고, 상례에는 흰 봉투를 사용하여 백포(白包)라고 한다. 재료는 일반민간의 복식의 경우는 특별한 금기가 없었으나 수의를 만드는 경우는 먼저 단(緞, 비단의 종류)을 사용하지 않았다. 이는 단의 음이 단자절손(斷子絶孫, 자손을 단절시킴)의 음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또, 양포(洋布, 농가에서 자가 생산한 포)를 쓰지 않았던 것은 양포의 양(洋)음이 음양의 양(陽)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수의는 죽은 사람을 음지로 보내는 것인데, 양자가 들어간 양포를 쓰게 되면 양지로 떠돌게 된다는 미신 때문이다.
음식금기
중국음식은 단순한 영양소적인 측면이 아니라 음양의 배합과 관계가 깊다. 다시 말하면 각종 음식물의 물성(物性)을 양성과 음성, 즉 열성과 냉성으로 나누어 이해하면서 물성이 상반된 것은 함께 먹는 것을 꺼리고 있다. 이러한 관념은 한의학의 기본원리와 상통하는 것으로 식물자체가 지닌 계절성 독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봄철에는 붕어를 먹지 않는데 이는 봄 붕어는 머리에 벌레가 있어 각기병을 악화시키기 때문이다. 여름에는 닭고기를 먹지 않는데, 이는 닭이 여름에 독이 많은 지네를 너무 많이 먹어 독이 체내에 쌓여있는 것을 경계한 것이다.
이 밖에 음식금기에는 음식이 지니고 있던 자연속성이 그대로 전해져 온다는 속설이 있다. 예를 들면 곰의 심장과 표범의 담을 먹으면 용맹해지고 늙은 암탉을 먹으면 피부가 거칠어진다는 등의 속설이 있다. 중국의 음식금기 중에는 접대에 관한 것이 많은데, 손님의 금기와 주인의 금기로 나눌 수 있다.
손님은 식탁에서 일어나 먼 곳의 음식을 집지 않으며, 요리 접시를 깨끗이 비우지 않고, 또 생선을 먹을 때 뒤집지 않으며, 음식찌꺼기를 개에게 던지지 않고, 먼저 식탁을 일어나지 않는 등이다. 음식접시를 깨끗이 비우는 것은 음식이 모자란다는 의미이며, 생선을 뒤집는 등은 어촌에서 특히 금기시 하는데, 어선이 뒤집어진다는 연상 때문이다.
주인의 경우에는 풍성한 요리를 차린 후, 주인이 직접 젓가락으로 음식을 집어주고 술을 권하는 경주(敬酒)를 계속한다. 또 산동지역에서는 처음 음식으로 물만두를 끓여 내오지 않는데, 이는 물만두는 송별의 음식이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물만두를 산동지역에서는 곤단포(滾蛋包, 곤단이란 "꺼져"라는 욕으로 사용됨)로 부르기도 하기 때문이다.
또 손님은 요리를 푸는 국자나 주걱 등을 뒤로 젖혀 놓지 않는데, 이는 재복(財福)이 밖으로 나가기 때문이다. 주인은 손님보다 먼저 일어나지 않으며 빈 접시를 치우거나 행주질을 하지 않는다. 달걀은 두 개만을 내지 않는데, 이는 이단(二蛋, 달걀두개)이란 말은 '바보'라는 욕의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후식의 경우는 차의 경우 차주전자 주둥이가 손님에게 향하지 않고, 손잡이가 향하게 하는데, 이는 주둥이가 향한 사람이 구설수에 오른다는 속설 때문이다. 또 과일을 낼 때에는 배의 경우, 두 사람이 하나의 배를 나누어 먹도록 하지 않는데, 이는 배 (梨, 중국어로 Li)를 나눈다(分, Fen)는 어휘가 분리(分離, 중국어로 FenLi)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양육에 대한 금기
고대 중국인들의 가정에서 영아가 채 자라기도 전에 숨지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각종 전염병이나 영양부족으로 인한 원인이 규명되지 않았던 고대에는 이러한 일의 발생을 모두 미신적인 것으로 돌렸다. 따라서 아이들의 생명과 관련된 금기가 특히 많았다.
우리나라와도 비슷한 전통들을 보면, 먼저 아이 이름을 지을 때 고상한 이름 대신 속된 이름을 짓는 것과 아이의 사주 중에서 부족한 오행 중의 하나를 이름자에 넣어서 아이의 인생에 큰 액이 없도록 한 것 등이 그 예이다.
이밖에도 신생아의 머리카락은 백일 이내에는 깎지 않는다는 금기가 있다. 만약 이를 지키지 않으면 요절할 수 있다는 전통이 내려오고 있는 것이다. 백일 후에 머리를 깎더라도 정수리(天靈盖라고 불렀다) 부분의 머리카락은 남겨두었다. 이 정수리 부분을 잘못 손대면 아이가 벙어리나 바보가 된다고 생각했다.
아이를 싸는 강보, 즉 포대기는 이전에 쓰던 것을 사용했다. 새 강보를 쓰지 않고 노인들이 입던 저고리를 고쳐서 강보를 만들었는데 이렇게 하면 아이가 장수한다고 믿었다. 또한 중국에서는 춘절 기간, 특히 정월 초하루에는 어린아이가 잘못했더라도 야단치거나 때리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 날은 일 년의 시작이므로 이 날 아이를 때리거나 야단을 치면 일년 내내 아이는 꾸중을 듣고 벌 받는 것을 예사시하기 때문이다.
* 위클리홍콩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5-12-07 13:58)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