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92호, 10월5일]
Ⅱ. 홍콩의 교육 제도와 기관
홍콩은 유치원, 초등, 중등과정의 학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 교육..
[제192호, 10월5일]
Ⅱ. 홍콩의 교육 제도와 기관
홍콩은 유치원, 초등, 중등과정의 학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 교육인적원부에 해당하는 교육통주국(EMB)에서 교육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영국의 영향을 받아 교육 부문에서도 영국 시스템과 유사하게 운영되고 있다.
현재 학제는 초·중등 과정 13학년 과정인데 북미 학제와 같이 초?중등 12년, 고등교육 4년제 시스템으로 전환하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2007년 현재 홍콩의 학제는 학제 변경 이전의 제도와 변경 후 제도가 맞물려 운영되는 혼합형태 이다.
1. 학제
유치원 학령은 만 3세부터 5세, 초등학교는 만 6세에서 11세, 중등학교는 12세에서 18세의 학령에 해당되게 학제가 짜여져 있다. 초등학교와 우리 나라 중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Form 1(중1), Form 2(중2), Form 3(중3)까지는 무상 의무교육이며, Form 3(Secondary 3)를 마치면 진학을 위해 JSEA(Junior Secondary Education Assessment)를 학교별로 치룬다. 학생들은 같은 캠퍼스에 있는 Form 4로 진학하지만 실업계로 진로를 선택하는 학생들은 상업계 혹은 IVE(Institute of Vocational Education) 직업학교로 진학한다.
Form 5를 마치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우리나라 수능에 해당하는 HKCEE(Hong Kong Certificate of Education Examination) 시험을 보고 Form 6에 진학하거나 다른 진로를 모색한다. HKCEE 시험은 대학에 진학할 경우 중요한 전형 자료이며 Form 6에 진학한 학생은 Form 7까지 마치고 HKALE(Hong Kong Advanced Level Examination) 시험을 보아 대학교에 진학한다. 대학교의 학부과정은 영국과 마찬가지로 A-Level를 통과한 학생들에게는 기본적으로 3년 프로그램으로 편성·운영되고 있다. 홍콩의 대부분 대학교에서는 HKCEE와 HKALE 시험결과, 학교 내신성적 및 구술 면접을 통해 학생들을 선발하고 있다.
JSEA는 평가 전문 기관인 HKEAA(Hong Kong Examinations and Assessment Authority)에서 출제하여 문제지를 제공하고 학교별로 관리하는 시험이며, HKCEE와 HKALE는 HKEAA에서 시험 문제 출제를 하고 우리 나라 수능 관리와 같이 교육 당국에서 시험 관리를 전체적으로 하고 있다.
공립학교 학비는 중학교 3학년(Secondary 3)까지 무상의무교육이며, 고등학교 1,2학년(Form 4-5)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연간 HK$(홍콩불)5,050 정도의 수업료를 지불하고 있으며, 고3에 해당하는 학생(Form 6-7)들은 HK$8,750 정도의 수업료를 학교에 지불하고 있다.
홍콩은 2004년 학제 변경안을 발표하고 2006학년도 초등학교 6학년이 고등학교 1학년(Form 4)이 되는 2009학년도부터 학제 변경을 하여 고등학교를 4년에서 3년으로 줄이고 대신 대학교 과정을 3년에서 4년과정으로 늘리는 학제 변경을 한다. 여기에는 많은 예산과 교육과정 재구성 및 편성, 과원 교사 처리 등 많은 난제들이 있지만 지금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2010년 이후로는 북미계와 비슷하게 6-3-3-4제로 정착이 될 예정이며 이에 따라 교육과정 편성·운영도 학생 중심 전인(全人) 교육을 지향하며, 학부모들에게 다양한 학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학교 마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교육과정에 편성·운영할 수 있도록 학교 단위 운영 자율권을 확대할 방침이다.
<다음 주엔 '교육기관'이 실립니다>
<이 내용은 지난 2월 한국으로 귀임한 KIS 김석수 교장선생님이 발간한 '홍콩의 교육과 국제학교' 책자에서 발췌 했음.>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