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홍콩의 교육과 국제학교 10 - 학교문화(나. 오픈 하우스(Open House))
  • 위클리홍콩 기자
  • 등록 2007-07-03 13:45:38
기사수정
  • [제180호, 7월4일] 4. 학교문화 나. 오픈 하우스(Open House)   오픈하우스 문화는 디벤처(Debenture) 문화..
[제180호, 7월4일]

4. 학교문화
나. 오픈 하우스(Open House)


  오픈하우스 문화는 디벤처(Debenture) 문화와 함께 홍콩의 국제학교가 상업적인 측면이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행사다.

  오픈하우스의 목적은 학교 시설과 교육과정 운영을 지역민과 타 학교 학부모들에게 개방하여 학교를 홍보해 보자는 데 있다.

우리나라의 학교 개방 날이라 할 수 있는데 학교는 교실과 수업을 개방하여 학교에 대해 학부모들의 관심을 끌고자 하는 것이다.

  신설된 학교일수록, 학교의 수용 가능 인원에 비해 학생 수가 적은 학교 일수록 오픈 하우스 행사를 자주 한다.  한국인이 비교적 많이 살고 있는 홍콩섬 타이쿠싱 지역에 위치한 캐나다 델리아 학교는 학교 홍보를 위해 텔레비전 광고는 물론 오픈 하우스를 자주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주로 토요일 혹은 학생들이 등교하지 않는 날을 잡아 다양한 게임과 놀이, 먹거리를 제공하고 교사들은 교실을 개방하여 나름대로의 교수법을 학부모들에게 보여 주고 학생 상담을 해 준다.  오픈 하우스 때는 누구든지 학교 방문이 허용되므로 홍콩의 국제학교들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어떤 학교는 오픈 하우스 때 행운권 추첨까지 하면서 방문객들을 유인하기도 한다.

  오픈하우스 행사 때 학부모와 함께하는 프로젝트 학습을 주로 하는 학교도 있으며 도서 전시회, 학생작품 전시회, 바자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열어 학교를 축제 분위기로 만든다.

  외부 강사를 초청하여 강연회도 하고 학교 급별 교육과정 설명회를 개최하기도 하는 등 국제학교들은 이 행사를 통해 학부모들에게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활동을 최대한 홍보한다.  학부모들은 자기가 잘 아는 다른 학부모들을 자기 자녀가 다니는 학교에 데려오기도 하며 다른 학교 오픈하우스 행사에 참가하기도 한다.  오픈 하우스는 학교마다 다른 교육활동과 교육과정에 대해 알게 되고 이 학교 저 학교를 비교하여 학부모들의 학교 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행사다.

  텔레비전 광고, 신문 및 오픈 하우스 등 학교홍보를 위한 재원이 학생들 납부금과 연결되어 있어 홍콩의 국제학교 수업료가 비싸지 않은가 한다.  오픈 하우스는 다분히 상업적인 측면이 있지만 홍콩이 교육경쟁이 매우 심하다는 단면을 보여 주면서 학부모들에게 학교교육에 대한 안목을 넓혀 주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다.

<이 내용은 지난 2월 한국으로 귀임한 KIS 김석수 교장선생님이 발간한 '홍콩의 교육과 국제학교' 책자에서 발췌 했음.>
0
홍콩 미술 여행
본가_2024
홍콩영화 향유기
굽네홍콩_GoobneKK
신세계
NRG_TAEKWONDO KOREA
유니월드gif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