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힐링 & 더 시티] 편해질 때까지
말콤 글래드웰 (Malcolm Gladwell)은 그의 저서 아웃라이어 (Outliers)에서, 적절한 환경에서 1만 시간을 원하는 일에 집중하면 성공할 수 있다며 ‘1만 시간의 법칙’을 소개했습니다. 매년 연초에 익숙한 ‘작심삼일’에 비하면 1만 시간이란 엄두가 안 나는 길이의 시간입니다.새해가 되어 들뜬 분위기가 무르익은 김에 생각해둔 목표 ...

지난 7월30일 홍콩섬 샹그릴라 호텔에서 홍콩 법무부, 한국 법무부, 인베스트 홍콩이 공동으로 주최하고 홍콩한인상공회가 후원한 법률 워크샵이 개최되었다. 워크샵에서는 홍콩의 법률 시스템과 그 이점, 그리고 한국 기업이 그레이터 베이 에리어(Greater Bay Area, GBA)에서 더 많은 사업 기회를 얻기 위해 홍콩의 슈퍼 커넥터 역할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논의했다.

첫 순서는 패널 토론으로, 홍콩한인상공회 신성철 회장, 한국변호사협회 이재환 회장, 홍콩 로펌 협회 Careen Wong 부회장, 홍콩 국제 중재센터 Joanne Lau 사무총장이 홍콩-한국의 관계와 각 국가의 규제 협력체에 대하여 질의응답을 나누었다. 한인상공회 신성철 회장은 홍콩 기반 한인 네트워크에 대해 설명했고, 홍콩 패널 측은 홍콩의 기업가 친화적인 세금 시스템과 사회 기반 등을 소개했다.
두 번째 순서로 주홍콩총영사관 유형철 총영사와 홍콩 법무부 폴 람 장관의 스피치가 진행되었다. 폴람 장관은 한국은 홍콩에게 세 손가락 안에 꼽히는 주요 무역 국가라고 강조했다. 홍콩은 일국양제를 기반으로 한 홍콩 법률 체계의 특징을 설명하며 이를 통해 한국 기업에서 더 많은 사업 기회를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유형철 총영사는 한국과 홍콩의 무역통계를 설명하며 양국의 친밀한 관계에 대해 언급했다.
오늘의 합동 법률 워크숍 및 네트워킹 리셉션은 한국-홍콩의 MOU 체결 이후 홍콩에서 개최된 첫 합동 행사로, 양국 기업 모두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했다. 오늘 워크샵에는 약 150명이 참석했다. 한국 측에서는 주홍콩총영사관 유형철 총영사, 한인상공회 신성철 회장, 및 상공회 이재호, 이종석, 김은정, 장승엽 부회장들과 임원 및 회원사들이 참석했다.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