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10월 중국 수출 15.6% 증가
  • 위클리홍콩 기자
  • 등록 2018-11-13 15:06:23
  • 수정 2019-02-13 15:59:19
기사수정
  • 7~9월 3차례 ‘관세폭탄’에도 두달 연속 두 자릿수 위안화 가치 하락 효과…미 관세 인상 전 밀어내기 트럼프가 전 상품 보복 예고한 상황이라 불안 지속 미-중 ..
7~9월 3차례 ‘관세폭탄’에도 두달 연속 두 자릿수
위안화 가치 하락 효과…미 관세 인상 전 밀어내기
트럼프가 전 상품 보복 예고한 상황이라 불안 지속

미-중 무역전쟁 와중에도 지난달 중국의 수출이 15.6%나 증가했다. 몇 가지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중국의 피해가 상당하리라는 전망은 단기적으로는 빗나간 셈이다.

중국 해관총서(세관)는 10월 수출액이 2172억8000만달러(약 245조원)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6% 늘었다고 8일 발표했다. 9월(14.5%)보다도 증가율이 높다. 미국은 7~8월에 중국 상품 500억달러어치(연간 수출 기준)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9월24일부터는 2000억달러어치에 10% 관세를 매기기 시작했다. 대미 수출액의 반 가까이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보복 대상에 들어 10월부터는 중국 쪽 피해가 가시화되리라는 전망이 많았다. 하지만 중국은 최근 제조업 성장이 둔화됐다는 발표가 나오는 상황에서도 적어도 10월 수출 실적으로는 선방했다. 10월 수입도 21.4%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다소 의외의 결과 뒤에는 우선 위안화 가치 하락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3월 달러당 6.2위안이던 환율은 최근 7위안에 육박한다. 달러로는 같은 가격에 팔아도 중국 업체들이 버는 자국 돈은 그만큼 많아진 것이다. 이로써 관세 효과가 상당히 상쇄된다. 미국은 중국산 수입 억제를 노리고 ‘관세 폭탄’을 던졌지만,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위안화 가치를 주저앉혀 중국 업체들의 수출 경쟁력이 높아지는 역설이 발생한 셈이다.

지난달 중국의 대미 수출은 13% 증가했다. 인도, 홍콩, 브라질 등으로의 수출은 각각 20% 이상 늘었다. 미국 외 지역들도 높은 수출 증가율에 기여한 것이다. 이런 추세라면 지난해 3752억달러를 기록한 중국의 대미 무역흑자가 새 기록을 세울 가능성마저 있다.

하지만 무역전쟁이 장기화한다면 이런 추세가 지속되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밀어내기’도 실적 호조의 요인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미국이 중국 상품 2000억달러어치에 매긴 10% 관세를 내년 1월부터 25%로 올리겠다고 예고한 탓에 수출상들이 연말까지 선적을 서두르고 있다. 노무라증권은 미국행 물량이 늘면서 7~10월 중국~미국 화물 운임이 48% 치솟았다고 전했다. 베티 왕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 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전기, 기계 제품은 전체 중국 수출 물량의 60%를 차지하고 대미 수출 비중도 가장 큰데 지난달 수출이 15.3% 늘었다”며 ‘밀어내기’ 사례로 지목했다.

게다가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추가로 2750억달러어치에 관세를 매기겠다고 으름장을 놓은 상태다. 중국의 대미 수출 상품 전체를 보복관세 대상에 넣겠다는 얘기다. 중국으로선 조기 타협의 필요성이 여전하다.

미-중은 지난달 관계 악화로 연기한 외교·안보 대화를 9일(현지시각) 워싱턴에서 개최한다. 양국은 이 기회 등을 활용해 갈등 해결을 모색하면서 12월1일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을 목표로 밀고 당기기를 할 것으로 보인다.

식료품] 중국의 생산 상향으로 곡물 재고율 올라
분석리서치 | 한국투자 이경주 | 2018-11-12 13:52:22
2018/19년 재고율 전망치: 주요 곡물 재고율 모두 상승

미국 농무성(USDA)이 8일(현지 시간)에 11월 세계곡물수급전망 보고서(이하 WASDE)를 발표했다.
2018/19년 주요 곡물의 재고율 전망치는 전월대비 소맥, 옥수수, 대두, 대두박 모두 상승했다.

18/19년 재고율은 소맥 35.8%(전월 34.9%), 옥수수 27.2%(14.4%), 대두 31.8%(31.2%), 대두박은 5.0%(5.1%) 를 기록했다.

17/18년 재고율은 소맥 37.4%(전월 37.1%), 옥수수 31.4%(18.6%), 대두 29.6%(28.7%), 대두박 5.4%(5.2%)를 기록했다.

중국의 역사적 생산 추정치 상향으로 재고율 상승

  _?xml_: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18/19년 소맥: 18/19년도 기말 재고율 전망치는 전월대비 0.9%p 상승했다. 기초 재고가 전월대비 4.1백만톤, 생산량 전망치가 2.6백만톤 상향된 영향이다. 기초 재 고 증가의 대부분은 중국 정부가 2007/2008~2017/2018년의 생산 데이터를크게 바꾼 데 기인하며, 생산 전망치도 중국의 경작면적 증가와 수율 개선(전월대비 4.5백만톤 상향)을 제외하고는 사실 타지역은 하향세였다. 한편 세계 소비량 전망치는 0.2백만톤 상향에 그쳤다.

 

18/19년 옥수수: 18/19년도 기말 재고율 전망치는 전월대비 12.8%p 크게 상승했다.

소맥과 마찬가지로 중국 정부가 과거 10년간의 생산 데이터 전망치를 일제히 상향해 발표하면서 기초 재고가 전월대비 142.7백만톤이나 상향된 영향이 지대했다. 생산 전망도 중국을 중심으로 30.6백만톤이나 크게 상향됐다. 중국 이외의 지역의 재고도 미국은 생산 전망이 하향됐지만 우크라이나, 아르헨티나 등 국지적인 생산 개선으로 상향됐다.

 

18/19년 대두: 18/19년도 기말 재고율 전망치가 전월대비 0.7%p 상승했다.

세계생산량 전망치는 2.0백만톤 하향됐는데, 기초 재고량 전망치가 3.0백만톤 크게 증가하면서 세계 공급량 전망치가 1.1백만톤 상향됐다. 세계 기초 재고량 상향에는아르헨티나가 1.3백만톤, 중국이 1.1백만톤 증가했다. 생산은 중국,인도 등지가 상향된 반면, 미국과 아르헨티나가 더 크게 하향 조정됐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홍콩 미술 여행
본가_2024
홍콩영화 향유기
굽네홍콩_GoobneKK
신세계
NRG_TAEKWONDO KOREA
유니월드gif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