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대한민국 전자여권 2020년부터 파란색으로 바뀐다.
  • 위클리홍콩 기자
  • 등록 2018-09-24 15:28:44
  • 수정 2018-09-24 15:30:42
기사수정
  • 대한민국 여권 디자인이 달라진다. 현재 녹색인 일반 여권 겉면 색깔이 짙은 남색으로 바뀔 예정이다. 정부는 2일 발표한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2018~20..
 
대한민국 여권 디자인이 달라진다. 현재 녹색인 일반 여권 겉면 색깔이 짙은 남색으로 바뀔 예정이다. 

정부는 2일 발표한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2018~2022)에서 ‘차세대 전자여권 도입계획’과 연계해 여권을 완전히 새롭게 디자인한다고 밝혔다. ‘차세대 전자여권’은 2020년 도입 예정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녹색 여권이 사용된 것은 (해외여행 자유화 시점인) 1988년부터”라면서 “예정대로 2020년부터 남색 여권이 쓰이게 되면 32년 만에 바뀌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1994년 기계판독여권, 2005년 사진전사식 기계판독여권, 2008년 전자여권 등 여권 형태와 양식이 계속 변화하는 가운데서도 표지만은 녹색이 유지돼 왔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은 왜 녹색으로 여권을 만든 것일까? 외교부 여권과에 따르면 해외여행을 나갈 때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눈에 띄지 않는 녹색으로 결정했다.

여권은 종교적, 정치적 특성에 따라 국가별로 색깔이 다르다. 비슷한 여권 색상을 가진 국가들은 지정학적 공통점을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 녹색 여권은 문화적 맥락에서 우리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 3월에는 ‘초록색 여권을 사용하는 나라는 이슬람 국가가 대다수’라며 표지를 파란색으로 변경해 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등장하기도 했다.

여권의 색깔은 국가 스스로 정한다.
근대적 의미의 여권은 14세기 잉글랜드 헨리5세에 의해 만들어졌다. 헨리5세는 자국민이 외국을 여행하는 동안 안전 보장 의미에서 신분증명서를 발급했는데, 19세기 들어 교통 발달로 국경을 넘나드는 사람이 늘어나자 유럽에서 여권법이 만들어졌고 국제적인 신분증 역할을 하게 됐다.

국가별로 여권의 색깔은 크게 붉은색, 녹색, 파란색, 검은색 계열 등 4가지로 나뉜다. 비슷한 여권 색상을 가진 국가들은 지정학적, 이념적, 종교적인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붉은색 여권은 유럽연합(EU) 가입국가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다. 또 붉은색 여권은 중국과 러시아, 세르비아 등 과거 공산주의 국가에서도 많이 사용했다.

 
***파란색 여권은 중남미 지역 국가들이 주로 사용한다. 아르헨티나, 브라질, 파라과이 등 국가의 여권은 파란색이다. 미국은 1976년 여권 색상을 파란색으로 변경했는데, 파란 여권에는 '새로운 세계'라는 의미가 들어 있다고 한다.
 

***녹색 여권은 이슬람 국가들이 주로 사용한다. 이슬람의 예언자 무함마드가 정복 전쟁에 나설 때 녹색 깃발을 들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서아프리카 국가들 역시 녹색 여권을 사용하는데, 그들은 ECOWAS라는 경제공동체를 강조하기 위해서 가입 국가들의 여권을 녹색으로 맞췄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홍콩 미술 여행
본가_2024
홍콩영화 향유기
굽네홍콩_GoobneKK
신세계
NRG_TAEKWONDO KOREA
유니월드gif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