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경제 회색코뿔소는 금융리스크…수출·구매선 다양화해야" 중국의 부채 축소 과정이 한국 등 주요국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은행..
"中경제 회색코뿔소는 금융리스크…수출·구매선 다양화해야"
중국의 부채 축소 과정이 한국 등 주요국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2일 해외경제 포커스에 실린 '중국경제의 3대 주요 정책과제 현황과 전망' 보고서에서 "옥스퍼드 이코노믹스, 피치 등에 따르면 중국의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으로 한국 성장률은 올해 0.3%포인트, 2020년엔 1.2%포인트 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고 전했다.
한은의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가 2.9%와 2.8%라는 점을 감안하면 내년에는 2%에 턱걸이하고 2020년에는 1%대 성장에 머무르게 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보고서를 보면 중국은 지난해 말 ▲ 금융리스크 예방 ▲ 빈곤 퇴치 ▲ 환경 보호 등을 질적 성장을 위한 3대 정책과제로 제시했다.
최우선 추진과제는 금융리스크 예방이다. 금융리스크 예방의 핵심은 지방정부와 기업의 부채 축소다.
보고서는 "그림자 금융, 기업부채로 대표되는 금융리스크는 중국 경제의 소위 '회색 코뿔소'(발생 가능성이 커 충분히 예상할 수 있지만 간과하기 쉬운 리스크)요인으로 간주된다"며 "중국이 금융리스크 예방을 최우선 정책과제로 당분간 추진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말 중국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신용은 208.7%로 주요 신흥국 가운데 가장 높다.
중국의 디레버리징이 추진되면서 기업 투자가 둔화하는 부작용 우려도 커지고 있다.
글로벌 신용평가기관인 피치는 중국의 디레버리징으로 신용 공급이 과다하게 위축되면 5년간 중국 GDP 성장률은 4% 중반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한국 성장률도 올해 0.3%포인트 떨어질 수 있고 2022년까지 최대 1.2%포인트 성장률이 하락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험 도입 등으로 빈곤 퇴치 정책은 일부 성과를 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3∼2017년 중국 인구 6천800만여명이 가난에서 벗어났다.
빈곤율은 2012년 10.2%에서 지난해 3.1%로 하락했다.
그러나 연간 3천위안(약 50만원) 미만으로 살아가는 중국 빈곤인구는 아직도 4천300만명(2017년 기준)에 달한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