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시사문화] 한국말 – 신조어(유행어)
  • 위클리홍콩 기자
  • 등록 2018-07-17 16:06:50
  • 수정 2018-07-17 16:07:10
기사수정
  • 지금까지 네이버 오픈국어 사전에 등재된 유행어 및 신조어는 10,807 개다. 모바일 메신저가 날이 갈수록 발달하고 있어, 채팅어가 하루에도 채팅어를 추가하면 2..
지금까지 네이버 오픈국어 사전에 등재된 유행어 및 신조어는 10,807 개다.
모바일 메신저가 날이 갈수록 발달하고 있어, 채팅어가 하루에도 채팅어를 추가하면 2,062개로 약 13,000개에 이른다. 물론 신조어 가운데에는 사회현상이나 사건과 관련해 새롭게 만들어진 용어들도 있다. 하지만 오늘은 온라인상에서 사용되는 인터넷 신조어와 그 의미에 대해 알아봤다. 한국내가 아닌 홍콩에 살고 있어 더 더욱 신조어를 알아 듣지 못할 때가 있어 살펴본다.

한국미디어들은 뷰티방송, 게임방송, 먹는 방송 등 다양한 인터넷 방송들이 생겨나고 있다. 콘텐츠를 만드는 크리에이터도 이들 콘텐츠를 소비하는 팬들도 주로 10대에서 20대 초반의 젊은 세대들이다. 그렇다보니 인터넷 방송이나 온라인 커뮤니티에 전혀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면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완벽하게 이해하기란 어렵기 마련이다.

· 정주행 – 드라마나 웹툰 등을 첫 회부터 순서대로 감상하는 행위

· 덕질 –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 심취하여 그와 관련된 것들을 모으거나 찾아보는 행위를 이르는 말

· 어덕행덕 – ‘어차피 덕질할거 행복하게 덕질하자’의 줄임말

· 팬아저 – ‘팬은 아니지만 저장하는 짤(사진)’의 줄임말

· 호극호 – ‘좋거나 더 좋거나’라는 의미. 대부분의 사람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만큼 뛰어난 대상을 표현할 때

· 더럽 – The Love을 아주 빠르게 발음하여 한글로 표기한 것. 기분이 아주 좋은 상황에서 사용한다.

· 글설리 – 글쓴이를 설레게 하는 리플(댓글)

· 주작 – 주작’은 ‘어떤 일을 사실인 듯이 꾸며 만듦’이라는 의미의 ‘조작’을 뜻하는 인터넷 용어

· 핑프 – 핑거 프린세스(finger princess)의 줄임말. 인터넷 검색을 위해 손가락조차 움직이지 않고 아무런 노력도 없이 주변 사람에게 물어보는 사람을 일컫는다.

· 어그로 – 공격적이라는 뜻의 영어 단어 ‘어그레시브(Aggressive)’에서 유래된 신조어. 온라인 게임상에서 자주 이용되던 말이다.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행위를 의미하며 인터넷 게시판에 주제에 맞지 않은 글이나 악의적인 글을 올리는 사람이나 공공장소에서 튀는 행동으로 이목을 끄는 사람에게는 ‘어그로꾼’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 마상 – ‘마음의 상처’ 줄임말

· 별다줄 – ‘별걸 다 줄인다’의 줄임말

오타처럼 보이는 이 단어들은 실제 10~20대들이 사용하는 인터넷 용어이다. 인터넷 신조어들은 주로 ‘축약’과 ‘합성’하는 과정에서 탄생한다. 따라서 신조어의 경우 배경지식이 없다면 추측하기 어렵기도 하다. 언어는 사회적인 약속’이라는 말이 있다. 위 용어들을 처음 듣는 사람들은 도무지 무슨 뜻인지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를 자주 사용하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하는 네티즌이나 청소년들 사이에서는 그 어떤 단어보다도 명확하게 말하고자 하는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용어가 되기도 한다.

· 엄크 – 엄마+Critical의 합성어. 게임에서 ‘Critical’은 치명타를 의미한다. 몰래 게임을 하는데 갑자기 엄마가 들어온 경우에 사용한다.

· 파덜어택 – Father(아빠)+Attack(공격)의 합성어. 아빠한테 혼나거나 꾸중드는 것을 의미한다.

· 낫닝겐 – ‘인간이 아니다’라는 뜻, 영어Not + 일본어 にんげん (닝겐:인간)의 합성어. 능력이나 외모 등에서 사람이 아닌 것처럼 뛰어날 때 사용한다.

· 빼박캔트 – 빼도박도+Can’t(못한다)의 합성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
ㅂㅂㅂㄱ – ‘반박불가’의 초성으로 논리적으로 완벽하여 반박할 수 없는 상태
ㅇㄱㄹㅇ – ‘이거레알’의 초성만 쓴 것으로 ‘이거 진짜 사실이다’라는 뜻이다.
ㅇㅈ – ‘인정’하다의 초성

과거에는 화장품을 사거나 메이크업 팁을 얻기 위해 매거진을 뒤적였다. 그리고 몇 년 뒤에는 열심히 뷰티 블로그를 검색했다. 손 안에 모든 정보가 있는 세상에 살고 있는 요즘은 많은 사람들이 유튜브를 검색한다. 믿고 보는 국내 대표 크리에이터들의 뷰티 방송을 참고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송들에도 ‘코덕’들만의 용어가 있다.

· 쇼핑하울 – ‘쓸어담다’라는 뜻의 영어 단어 ‘Haul’에서 유래한 신조어. 화장품, 옷, 액세서리 등 잔뜩 쇼핑했다는 의미로 쓰이며, 해외 유튜버들이 사용하면서 국내에서도 쓰이기 시작한 말

· 세젤예 – 세상에서 제일 예쁘다의 줄임말 (응용: 세젤귀 –세상에서 제일 귀엽다)

· 최애 – 최(催)고로 사랑(愛)한다는 뜻 (응용: 최애템 – 최고로 사랑하는 아이템)

· 므네상스 – 남성(Male)+르네상스(Renaissance)의 결합. 그루밍에 인문학적 소양까지 갖춘 남성

· 브로톡스 – 형제(Brother)+보톡스(Botox)의 결합. 남성의 보톡스 시술을 일컫는 말

· 잘생쁨 – 잘생기고도 예쁜 얼굴. 중성적인 매력이 있는 이미지에 사용하며 남녀를 불문함

· 코덕 – ‘코스메틱 덕후’의 줄임말로 화장품을 좋아하고 그에 관한 정보도 많이 알고 있는 사람을 일컫는 말

· 공병템 – 화장품이 공병이 될 때까지, 바닥까지 싹싹 글어 썼을 정도로 효과를 본 아이템

· 톤팡질팡 – 자신에게 맞는 톤과 컬러를 고르지 못하고 갈팡질팡한다는 의미

· 과즙상 – 보고 있으면 얼굴에서 새콤달콤한 과즙이 떨어질 것만 같은 생기를 띤 인상

· 닦토 – 피부를 닦아내는 방식으로 활용하는 토너를 가리키는 말

· 소공녀 – ‘모공이 작은 여자’라는 의미

· 초크초크 – ‘촉촉’하다는 말을 영어발음처럼 말할 때 쓰이는 단어

· 라톡스 – 라면 먹고 자고 일어난 다음 날, 보톡스를 맞은 것 처럼 퉁퉁 부은 상태를 의미한다.

· 환불 메이크업 – ‘쎈 언니’가 연상되는 메이크업으로 물건을 환불해야 할 때 기싸움에서 밀리지 않을 법한 메이크업

· 열일하다 – ‘열심히 일하다’의 줄임말. 사람이 아닌 얼굴, 몸매, 헤어스타일 등이 주격이 되어 사용하기도 한다.

사실상 상당수의 신조어는 현재 한국 사회의 모습을 반영한다. 아울러 분초를 다투며 살아가는 가운데, 더 빠르고 간단하게 소통하고자 하는 욕구가 반영된 현상이기도 하다. 지난 10월 9일 한글날에는 신조어를 남용하는 세태를 두고 아름다운 우리 글인 ‘한글’ㅇ,ㄹ 망가뜨리는 행위라며 안타까워하는 이들이 많았다.
 
하지만 신조어와 줄임말 등은 시대적 변화와 흐름의 한 측면이라는 사실을 부인하기 어렵다. 때로는 유행처럼 번져 사람들에게 즐거움과 재미를 주며 당신이 ‘아재(구세대)’인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이 글이 온라인 공간에서 공유되는 정보를 얻거나 인터넷 방송을 보거나 다른 이들과 소통하는 데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weeklyhk@hanmail.net)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이태원_250109
홍콩 미술 여행
본가_2024
홍콩영화 향유기
굽네홍콩_GoobneKK
NRG_TAEKWONDO KOREA
유니월드gif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