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 반도체 40% 사가는 중국이 "독립" 선언하면?
  • 위클리홍콩 기자
  • 등록 2018-07-03 18:20:16
  • 수정 2018-07-03 18:20:51
기사수정
  • 지난해 중국이 수입한 반도체 규모는 2601억 달러로 전 세계 반도체 거래 물량의 65%에 이른다. 2015년부터 석유보다 더 많은 돈을 반도체 수입에 쓰고 있다..
지난해 중국이 수입한 반도체 규모는 2601억 달러로 전 세계 반도체 거래 물량의 65%에 이른다. 2015년부터 석유보다 더 많은 돈을 반도체 수입에 쓰고 있다. 이런 중국이 반도체 굴기(堀起)를 선언하면서부터 전 세계 전자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25년까지 반도체 자급률을 7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특정 시점까지 어떤 반도체 장비ㆍ재료를 국산화하겠다는 구체적인 로드맵도 세웠다. 월스트리트저널(WSJ),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세계 스마트폰의 90%, PC의 65%, 스마트TV의 67%를 생산하는 중국이 이들 제품 생산에 필수인 반도체를 마냥 수입해 쓸 수는 없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 중국의 반도체 자급률은 2016년 13.5% 수준에 불과하다. 중국이 반도체에 공을 들이는 이유다.

중국 정부의 전략은 단순하지만 확실하다. 막대한 자금을 반도체 연구개발(R&D)에 쏟아부어 단박에 따라잡겠다는 것이다. 중국 정부는 2025년까지 1조 위안(176조8000억원)을 반도체에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 일환으로 최근 470억 달러(약 52조원)짜리 반도체 투자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2014년 218억 달러짜리 빅펀드에 이은 또 다른 국가 주도 반도체 펀드다. 이번 펀드 역시 중국 기업들의 연구개발(R&D), 인재영입, 인수합병(M&A) 자금 등으로 쓰일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1위 반도체 설계업체인 칭화유니그룹의 자회사(YMTC)는 올해 하반기부터 후베이성 우한(武漢)에 지은 중국 최초의 3차원(3D) 낸드플래시 반도체 공장에서 양산을 시작한다. 푸젠진화와 허페이창신 등도 이르며 올해 말 D램 양산을 시작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시진핑 주석은 지난 4월 이들 반도체 업체를 시찰하면서 “심장과 같이 중요한 반도체 영역에서 우리는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해야 한다”며 반도체 국산화를 역설하기도 했다.

이런 중국의 ‘반도체 굴기’에 직격탄을 맞는 국가는 한국이다. 지난해 사상 최고를 경신한 한국 반도체 수출액(997억1200만 달러) 가운데 중국에서 벌어들인 비중이 39.5%에 달한다.

‘시스템 반도체’에서는 이미 중국의 기술이 한국을 앞질렀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스템 반도체의 설계를 담당하는 ‘팹리스’ 업체는 중국이 1300여 곳으로, 한국의 10배 수준이다. 시장 규모도 중국이 10배 이상 크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이태원_250109
홍콩 미술 여행
본가_2024
홍콩영화 향유기
굽네홍콩_GoobneKK
NRG_TAEKWONDO KOREA
유니월드gif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