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탑승객 수 급증으로, 광저우 신공항 개장... 2025년까지 국제공항으로 확대키로
  • 위클리홍콩 기자
  • 등록 2018-05-02 11:16:11
기사수정
  • 지난 26일 목요일, 170억 위안 건설비용이 투입되어 완공된 광저우 신공항이 정식 개장했다. 광저우 신공항은 2025년 홍콩·마카오·광둥성 통합경제권(粤港澳大湾..
지난 26일 목요일, 170억 위안 건설비용이 투입되어 완공된 광저우 신공항이 정식 개장했다. 광저우 신공항은 2025년 홍콩·마카오·광둥성 통합경제권(粤港澳大湾区, Greater Bay Area) 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써 광저우 두 개 공항에서 연 1억 명 탑승객 수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Great Bay Area 개발 프로젝트에는 중국 남부지역의 경제 및 비즈니스 허브지역인 홍콩, 마카오, 광저우, 심천, 주하이 등 도시가 포함된다. 이 지역은 총 6,600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남한과 맞먹는 경제규모를 가지고 있다.

광저우 신공항의 첫 항공편의 첫 번째 탑승자는 네덜란드인 사업가인 크리스 위에츠(Chris Wietse)씨이다. 그는 “중국의 새로운 인프라 프로젝트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광저우 신공항은 매우 깨끗하고 서비스도 훌륭하다”고 말했다. 터미널2는 397개의 체크인 카운터가 있으며 5,000댈 이상 수용 가능한 주차공간이 있다. 또한 탑승 전 안면인식기술을 도입해 비행기 탑승 전 모든 탑승객의 얼굴을 인식 및 저장한다. 2020년까지 4,500만 명의 탑승객이 이용할 것으로 전망한다.

기존의 광저우 공항은 2004년부터 운행되었으며 연 평균 3,500만 명의 탑승객이 이용하고 있다. 작년의 경우 6,584만 명으로 이상으로 집계되어 동기간 홍콩국제공항의 7,286만 명의 뒤를 바짝 쫓았다. 광저우 공항의 작년 탑승객 수는 중국 내 공항 중 최다 탑승객 수 6위 안에 든다. 광저우 신공항은 2025년까지 220개의 국제노선을 편성하여 매년 3500만 톤의 화물과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는 세계적인 국제공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광저우 공항들은 아직까지는 국내선 노선에 집중되어있다. 현재 전체 항공편 중 60%가 국내선으로 중국 내 170여개 도시를 연결하고 있다. 국제선의 경우 유럽 6개, 북미 5개, 아시아 국가 48개 항공편이 편성되어 있다. 홍콩국제공항 경우, 유럽 21개, 북미 10개, 아시아 112개가 있어 홍콩국제공항과 비교했을 때 턱없이 부족하다. 하지만 올해 국내 및 국제선을 증편하면서 빠르게 탑승객 수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찌앙먼(江J門, Jiang Men)의 항공권판매대행 대표인 펑씨는 “남미와 아프리카에서 돌아오는 80% 이상의 중국인 여행객들은 홍콩이 아닌 광저우공항을 선택하여 광저우에서 버스나 기차를 타고 거주 도시로 이동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광저우 공항이 확장됨에 따라 홍콩국제공항 탑승률이 축소될 것이라는 주장이 있지만, 전문가들은 “언제든 새로운 공항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삼각주 지역의 인구 증가 항공 이용 수요 증가로 지역 내 2,3개의 큰 공항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홍콩국제공항의 국제공항으로써의 위상을 공고히 할 것이다”고 말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이태원_250109
홍콩 미술 여행
본가_2024
홍콩영화 향유기
굽네홍콩_GoobneKK
NRG_TAEKWONDO KOREA
유니월드gif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