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검게 변한 영산강 바닥 저질토, 생물 살 수 없다" 주장
  • 위클리홍콩 기자
  • 등록 2014-07-11 09:19:40
기사수정
  • 최근 4대강 유역에서 태형동물 큰빗이끼벌레가 발견돼 수질오염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8일 "영산강 바닥의 저질토(흙)도 검게 변해 정화기능을 상실한 것 같다..
최근 4대강 유역에서 태형동물 큰빗이끼벌레가 발견돼 수질오염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8일 "영산강 바닥의 저질토(흙)도 검게 변해 정화기능을 상실한 것 같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광주환경운동연합과 박창근(53) 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 이현정(36) ㈜국토환경연구소 연구원 등 10여 명은 이날 오전 광주 남구 승촌보 인근 영산강에서 수질 조사를 벌였다.

이들은 배를 타고 나가 승촌보 인근에서 3~4m 깊이의 강바닥에 있는 저질토를 채취장비를 이용해 10㎝정도 퍼낸 뒤 육안 분석했다.

승촌보가 지난 2011년 9월 개방된 이후 보 주변의 강바닥 흙을 채취해 성분조사를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박 교수는 "승촌보가 들어서기 전 영산강 바닥은 모래와 자갈로 구성돼 있어 자체 정화기능을 갖고 있었다"며 "승촌보 건설 이후 물길이 막힘에 따라 강바닥도 검은 흙으로 덮여 버린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흙이 검게 변했다는 것은 강바닥 속 생물이 살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강바닥에 살고 있는 생물은 전멸 됐을 것이다"고 주장했다.

또 "유속은 초당 5~10㎝정도로 승촌보가 건설되기 전 50㎝ 유속을 보이던 것에 비해 크게 떨어진 상태다"며 "유속이 느려지니까 녹조 등의 미생물이 죽은 뒤 바닥에 쌓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강바닥이 검은 흙으로 변하면 지속적인 오염원이 된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박 교수는 "정화기능을 상실했기 때문에 오염물질들이 가라 앉았다가 떠올랐다가를 반복하면 수질악화로 이어진다"며 "영산강의 하천의 모습이 아니고 생명을 잃은 물이다"고 지적했다.

영산강의 수질 개선 방법에 대해서는 "단기 적으로 수문을 열어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장기적으로는 물의 흐름을 막고 있는 승촌보 등을 철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영산강의 수질에 대해 이 연구원은 "승촌보가 건설되기 전 영산강의 경우 수질이 상류지역은 좋아졌다가 대도시인 광주를 지나면서 급속이 나빠졌다가 하류로 갈수록 다시 좋아지는 현상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승촌보 건설 이후 하류의 수질 상태가 좋지 않게 분석되고 있다"며 "3년 연속 녹조현상이 나타는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 상태로 지속이 되면 물고기 집단 폐사 등이 우려된다"며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최지현 광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저수지나 호수 등에서 발견되는 큰빗이끼벌레가 최근 영산강 곳곳에서 목격되고 있는 것도 이상 징후를 의미한다"고 밝혔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이태원_250109
홍콩 미술 여행
본가_2024
홍콩영화 향유기
굽네홍콩_GoobneKK
NRG_TAEKWONDO KOREA
유니월드gif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