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일본에 본사를 둔 한 일본 기계부품 제조업체는 1990년대 중국 진출을 단행했다. 엔고의 영향으로 일본의 수출 경쟁력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중국의 싼 인건비를 활..
서일본에 본사를 둔 한 일본 기계부품 제조업체는 1990년대 중국 진출을 단행했다. 엔고의 영향으로 일본의 수출 경쟁력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중국의 싼 인건비를 활용해 사업을 확장하고 싶은 욕심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회사는 중국 기업과 합작회사를 만들었다. 일본에서 부품을 보내 중국에서 조립한 뒤, 완성품을 일본에서 역수입하는 사업 모델이었다. 이를 통해 회사 매출은 순조롭게 늘어갔다.
상황이 달라지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였다. 중국 지방정부가 정하는 최저임금이 해마다 10%가량 상승해 인건비가 진출 초기에 견줘 2~3배나 증가했다. 땅값도 진출 당시보다 2배가량 함께 올라갔다. 중국 시장 내 사업 채산성 악화로 고심하던 일부 기업들은 중국보다 임금이 낮고, 노동 규제가 약한 동남아시아 일대로 사업 거점을 옮겨가기 시작했다.
일본 기업들의 중국 탈출 행렬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것은 2012년 9월 일본 정부의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국유화 조처였다. 이 조처 이후 중국 내 일본 기업들을 목표로 삼은 강력한 반일 데모가 이어졌다. 실제로 8일치 <마이니치신문>과의 인터뷰에 응한 일본 기업 관계자들은 “당시 일본에 수출하는 제품의 통관 절차가 늦어져 납품 기한을 맞추지 못했다” “반일 데모로 인해 수억엔의 손해가 발생했다. 정부 간 협의에서 중국에 보상을 요구하고 있지만 지금껏 반응이 없다”고 어려움을 쏟아냈다. 중국 시장에서 철수한 일본 주요 상장기업의 수는 2010년 12개에 불과했지만, 2011년 23개, 2012년엔 56개, 2013년엔 76개 등 빠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중국 경제의 성장에 따른 중국 진출 외국기업들의 사업 모델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의 2013년 통계를 보면 중국을 100으로 봤을 때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임금 수준은 필리핀 66, 인도네시아 62, 베트남 42, 캄보디아 26 등에 불과했다. 기업들이 중국 사업의 이점으로 꼽아온 저임금의 이점이 사라진 대신 중국 특유의 사회적 규제는 기업들의 목을 죄고 있다. 특히 중국 정부는 외국 기업들이 중국에서 사업을 접을 경우 그동안 감면해 줬던 기업소득세(법인세)를 반환하게 하거나 노동자들에게 퇴직금 성격의 ‘경제보조금’을 지급할 것을 요구한다.
이런 ‘탈출 장벽’이 너무 높아 일본에서는 중국으로부터 철수하기를 원하는 기업들을 위한 컨설턴트 사업까지 활황세를 보이고 있다고 <마이니치신문>이 지적했다. 일본의 한 경영 컨설턴트는 “실적 부진을 겪고 있는 일본 기업에 (최근 중-일 간의) 정치적 불안정은 철수 결정을 내리는데 좋은 구실을 제공하는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후쿠다 가즈토시 일본무역진흥기구 중국 다롄 사무소의 해외투자 상담역은 “중국에서 물건을 만들어 일본에 판다는 사업 모델은 이미 낡았다. 역할을 다한 기업은 무대에서 퇴장하고 중국에서 팔릴 수 있는 기업이 전면에 등장하고 있다. 지금은 그런 변화가 진행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