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홍콩에 계신 한인 여러분, 코트라 홍콩무역관에 근무하는 이주상 과장입니다.
성공은 어설픈 선생님이다.
현명한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에게는 실패란 없다고 확신하게 만든다
(Success is a lousy teacher. It seduces smart people into thinking they can't lose.) - 빌 게이츠(Bill Gates) -
무언가 성공했을 때나 높은 평가가 집중될 때야말로 실은 가장 위험한 상태입니다. 실패가 없으면 우쭐해서 자만에 빠질지도 모릅니다. 성공의 비결을 쓰기 시작할 때 이미 더 이상의 성공의 길은 막히고, 내리막길로 향했던 이들이 많이 있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출처 : 조영탁의 행복한 경영이야기)
스티브 잡스가 말했던 "Stay hungry, stay foolish."와 일맥상통하는 것 같습니다. 이과장의 경제 비타민 스물두 번째 순서로 출발해 보시겠습니다. 출발~!
홍콩섬 內 지역 간 사무실 임차료 차이 줄어
최근 들어 센트럴과 다른 홍콩지역의 사무실 임차료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면서 센트럴에 위치한 많은 회사들이 이전 계획을 보류하고 있는 움직임입니다.
세계적인 부동산 관리회사 Colliers에 의하면 8월 기준 센트럴 내 임차료는 평방피트(square foot)당 104홍콩달러를, 코즈웨이베이, 쿼리베이는 각각 56-57홍콩달러, 40.5홍콩달러를 기록하였다고 합니다. 이는 예전에 비해 격차가 줄어든 것입니다.
센트럴 내 임차료는 작년대비(116홍콩달러) 10% 가량 감소하였으나 코즈웨이베이, 쿼리베이 내 평균 임차료는 상승하였습니다. 센트럴에서 높은 임차료를 내고 있는 회사들은 센트럴에서 벗어나고 싶어도 홍콩섬의 사무실 공급이 적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쿼리베이내 사무실 공실률은 1% 미만으로 높은 인기를 구가 중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크레딧 스위스에 따르면 센트럴에 위치한 외국계 금융기관들은 회사 규모를 축소하고 있는 추세인 반면 중국 금융기관들은 규모를 확장하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중추절 연휴기간 중국인 방문객 줄고 명품 소비도 대폭 줄어
중추절이 낀 황금연휴에 중국인 방문객이 예년보다 줄었고 특히 명품 소비가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홍콩 통계청에 따르면 소매시장 규모는 8월 기준 전년도에 비해 4.5% 증가하였으나 귀금속, 시계 등 럭셔리 제품들의 판매는 같은 기간에 3.4%가 감소하였습니다.
홍콩 소매관리자협회 Mak회장은 럭셔리 제품 판매 하락은 매우 충격적이라고 밝히며, 중국 경기 침체로 관광객도 줄고 이들의 씀씀이도 줄었다고 평가하였습니다. 고급 시계 아웃렛 매장 4곳을 경영하는 Stanley 사장은 작년에 비해 매출이 10%나 줄었고 50만 홍콩달러 이상의 고가 시계 판매는 30%이상이나 줄었다며 럭셔리 시장 침체 분위기를 전하였습니다.
세계의 공장 중국, 기업들 어디로 움직이나?
중국 연해 지역의 생산 비용 상승, 중국 정부의 지역 균형 발전 전략에 따라 중국 내 생산 거점이 내륙 또는 동남아로 이전하고 있습니다. 중국 내륙지역은 도시화와 산업기지 건설로 중국 GDP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데요, 공업 총생산량 또한 11조 8천억 위안으로 2002년 대비 2.9% 증가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글로벌 기업인 삼성전자는 산시성으로, Hewlett-Packard Company, Acer, Asus는 충칭시로, 대만기업인 Foxconn은 청두시로 이전하였습니다. 나이키와 유니클로는 생산비용 절감을 위해 중국에서 동남아로 생산기지를 이전하였는데요, 중국의 인건비 상승이 가장 큰 요인이었다고 합니다.
중국에서 평균적으로 근로자 임금으로 463달러를 지불해야 하는 반면 베트남, 캄보디아, 방글라데시는 각각 중국의 1/3, 1/4, 1/5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중국 내륙, 동남아 국가 모두 물류 여건과 제반 여건이 다르므로 생산기반 이전 이전에 진출하려는 업종에 부합하는 조건 보유 여부에 대한 조사와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말하였습니다.
중국, 수출입 촉진 위해 세관 관리비 철회 예정
중국 정부는 유럽 경제위기, 국내 경제 성장둔화에 주춤했던 수출입 촉진을 위해 다음 달부터 세관 관리비 (Customs administrative fee)를 없애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중국 정부는 수출업자에 세금환급 증대, 기업의 소요자금 절감 및 수출 보험 보상범위 확대 등의 정책을 시행할 예정으로 알려졌습니다.
홍콩 산업연합회 회장인 Stanley Lau Chin-Ho는 "새로운 정책은 무역회사들의 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오나 침체된 수요는 여전히 가장 큰 문제"라고 밝혔는데요, 실제로 중국의 수출량은 지난달 2.7% 증가에 그쳤고 수입은 2.6% 감소하였습니다. Securities Times는 세관 수수료 철회로 수출입 업자들은 약 35억 위안(43억 홍콩달러)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였습니다.
매일매일 이메일로 드리고 있는 “홍콩무역관 이과장의 경제 비타민”, 이메일로 받아보기 희망하시는 분들께서는 bill@kotra.or.kr로 회사명(있을 경우), 성명, 직책, 전화번호를 이메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더 많은 정보는 www.globalwindow.org 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 주에는 더 풍성한 소식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홍콩코트라 이주상 과장 bill@kotra.or.kr>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홍콩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